|
조회 수 : 0
2023.08.26 (18:02:45)
저축은행 연체율이 내려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금융당국이 저축은행 연체율 관리를 위해 업계에 허용해준 연체채권 시장 매각은 3개월 가까이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그 사이 서민들의 대출문은 점점 더 좁아지고 있다는 지적이다.연체채권 매각 제한에 오르는 연체율25일 저축은행 업계에 따르면 이달 말 발표되는 올해 2분기 저축은행 연체율은 5%대 중반으로 전망된다. 지난 1분기 연체율이 5.1%로 2016년 말(5.83%)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는데 이보다 더 악화하는 것이다. 한 대형 저축은행 관계자는 “연체율이 1분기 때보다 나아질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면서 “2분기 수치가 소폭 상승했다”고 전했다.올해 건전성 관리를 강화했는데도 저축은행 업계 연체율이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 이유는 연체채권 매각이 사실상 막힌 상황이기 때문이다. 저축은행은 주로 연체채권을 대부업체나 민간추심업체에 내다 팔아 연체율을 낮춰 왔는데 금융당국이 2020년부터 공공기관인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만 매각할 수 있도록 제한했다. 늘어난 대출채권에 대한 과잉 추심을 막겠단 취지였지만 저축은행들은 캠코에 시장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파느니 연체채권을 보유하는 게 낫다고 판단했고 이는 되레 연체율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민간 매각 열어줬지만, 효과 '글쎄'금융당국이 지난 6월 연체채권 매입처를 5개 민간 유동화전문회사(우리금융·대신·하나·키움F&I, 유암코)로 늘려줬지만 이마저도 실무 단계에서 속도를 내지 못하는 상황이다. 가장 큰 걸림돌은 매입사로 선정된 5개사가 개인 무담보 연체채권 매입 경험이 없는 곳이라는 점이다. 무담보 연체채권은 담보 채권과 달리 연체 기간, 연체 금액, 차주 성향 등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한데 경험이 전무하다 보니 평가 전문성이 떨어지고 채권가격 산정 기간도 오래 걸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부실채권(NPL)투자사 고위 관계자는 “대부분 NPL투자사들은 무담보 연체채권 관리에 필요한 인력을 충분히 갖고 있지 못하다"면서 "외부 위탁 수수료가 추가로 붙어 저축은행들이 원하는 가격을 맞추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렌탈가격비교
갤럭시북2렌탈
위니아안마의자렌탈
런닝머신렌탈
삼성세탁기렌탈
전자제품렌탈
식기세척기렌탈
업소용냉장고렌탈
|